순교자를 찾아서

106 백육번째 순례지 제주 제주 관덕정

하늘나그네 2016. 4. 23. 12:10
728x90
반응형
SMALL


2016년 4월 19일 부활 제4주간 화요일

오늘은 제주도 제주시 삼도 2동 983-1 제주 관덕정을 찾아 보았다

추자도에서 1박후에  제주도를 향하여 출발하였다


하추자를  떠나고  있다


어제 완도에서 출발할때는  날씨가 흐리고 바람이 좀 불었지만  오늘은  맑고  화창하다






제주도에 도착하여 돌아갈배를 타는 곳을  확인하였다

제주항 제2부두  한일블루나래 타는곳이다 

제주항 연안여객선 터미날이다


제2부두와  제6부두는  1키로이상  떨어져 있다

추자도를  출발하여  도착한곳은 제주항 국제여객선터미널이다

제주항 제6부두 제 7부두가 있는곳이다

배에서 내리면 목적지로 떠나기 전에  이렇게  미리 확인하여 알아두고 떠나야  한다







드디어 제주도에 왔다

생후 66년  결혼후 37년만에 제주도에 왔다

결혼식 끝나고  오고자 했던 제주도 신혼여행이 37년만에  신혼여행이 아니라 구혼여행이 되었다


순교자님 감사합니다

순교자님을  찾아보려고  성지순례를  시작하고보니

생각도 못했던 제주도 여행을  하게 됩니다



1886년 한불조약을 계기로 조선땅에서는  공식적인 박해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는 부패한 관리와 완고한 유생들과 천주교인들과의  충돌이 결국에는 

박해라는 양상으로 바뀌었는데 그중 하나가 1901년에 발생한 제주도  신축교안이다


비단잉어가 한가로이 놀고있는  이곳에서 신축교안의 아픈역사가  있었다고  한다







우리 조상 할아버지중에 한분이시니 자랑스럽다



입장료내고 들어왔으니 저옷을 입고 한번 앉아보았다


관덕정은 본래 조선 세종때 병사들의  훈련장으로서  사용하기위해 군사들의 연무장에 세운  정자였는데

제주 신축교안때 많은 신자들이 이곳  관덕정에서 민란군에게 처형당했다


제주교구는  2003년 11월7일   "1901년 제주항쟁 기념사업회와" 와 함께 화해선언문을  발표했다

곧 교회는  과거 전통사회와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선교활동을  펼쳤던 점들을  인정하고

제주도  민중들도 봉기과정에서 무고한  천주교인들이  희생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됨으로서

과거사에 대한 일반적 시각을  버러고 화해와  화합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관덕정 순례확인도장 찍는곳 제주 중앙성당


728x90
반응형
LIST